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모든 해외 가상화폐거래소 동일한 수수료 정책 가지나요? 해외 가상화폐 거래소마다 마진거래 수수료 정책이 모두 동일한지 궁금합니다. 거래소별로

해외 가상화폐 거래소마다 마진거래 수수료 정책이 모두 동일한지 궁금합니다. 거래소별로 수수료 구조나 부과 방식에 차이가 있다면, 주요 거래소들의 대표적인 수수료 정책과 함께 어떤 점을 비교해봐야 하는지도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상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 마진거래 수수료의 주요 구성

마진거래 수수료는 크게 세 가지 요소로 나뉩니다:

  1. 거래 수수료 (Trading Fee)

  • 포지션을 열고 닫을 때 부과

  • Maker (유동성을 공급) / Taker (유동성을 가져감) 구분

  1. 자금조달 수수료 (Funding Fee)

  • 대부분 무기한 선물(Perpetual Futures)에서 적용

  • 포지션 유지 중 일정 간격으로 발생 (보통 8시간마다)

  • 거래소가 받는 것이 아니라, 롱과 숏 포지션 간 교차로 발생

  1. 이자 또는 차입 수수료 (Borrowing Interest)

  • 레버리지 사용 시 자산을 빌리는 개념에서 발생 (주로 현물 마진)

  • 시간 단위로 발생 (연이율로 계산됨)

주요 해외 거래소 마진거래 수수료 정책 비교

거래소

Maker / Taker 수수료

Funding Fee

최대 레버리지

특징

Binance

0.02% / 0.04% (선물 기준)

변동, 8시간마다

최대 125배

VIP 등급 따라 할인 가능

Bybit

0.01% / 0.06%

변동, 8시간마다

최대 100배

인터페이스 직관적, 이벤트 잦음

OKX

0.02% / 0.05%

변동, 8시간마다

최대 125배

여러 유형의 마진 상품 제공

Bitget

0.02% / 0.06%

변동, 8시간마다

최대 125배

카피트레이딩 기능 제공

Kraken

0.01% ~ 0.02% / 0.02% ~ 0.05%

없음 (마진 차입 시 이자 발생)

최대 5배

미국 이용자 접근 가능

KuCoin

0.02% / 0.06% (선물)

변동

최대 100배

마진과 선물 모두 지원

MEXC

0% / 0.03% (일부 무기한 선물 0% Maker)

변동

최대 200배

높은 레버리지 제공

※ 수치는 기본 등급 기준이며, 거래량이 많거나 자체 토큰을 사용하면 할인이 적용됩니다.

거래소 수수료 비교 시 고려할 점

항목

설명

수수료 구조

Maker/Taker 비율, 할인 조건 (예: 토큰 보유 시 할인)

자금조달 주기와 평균치

Funding Rate는 변동되므로 과거 데이터를 참고해야 함

이자 발생 구조

현물 기반 마진일 경우 차입이자율 확인 필요

레버리지 한도

고레버리지가 무조건 유리하진 않음 (청산 위험 증가)

거래량 및 유동성

슬리피지와 체결 효율성에 영향

보안성 및 규제

제도권 여부, 라이선스 보유 여부 등

VIP/레벨제도

거래량에 따라 수수료가 얼마나 낮아지는지 확인 필요

요약

  • 거래소마다 수수료율, 부과 방식, 레버리지 한도, 이벤트/할인 정책이 상이함.

  • 마진거래에서는 단순 수수료 외에 자금조달 수수료와 이자 구조도 중요.

  • 비교 시엔 총 거래 비용, 포지션 유지 비용, 레버리지 청산 리스크까지 모두 고려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