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고2때 학교 전학 제가 지금 09년생인데 웬만한 특목고랑 비슷할 정도의 어려운 일반고에 있어서

제가 지금 09년생인데 웬만한 특목고랑 비슷할 정도의 어려운 일반고에 있어서 내신도 다 엉망인 상태입니다고교학점제 때문에 내신 버리면 안되는데 고2 때 아예 다른 지역으로 가서 거기서 내신 겁나 잘 따보는 건 어떨까요ㄱㅊ을까요 아니면 이 어려운 학교에서 겁나 죽어라 하면서 도전해볼까요

정말 중요한 결정의 기로에 서 계시네요. 고등학교 2학년 전학을 고민하는 마음, 충분히 이해합니다. 현재 상황과 미래 계획을 신중하게 고려해서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여러 측면에서 도움을 드릴게요.

고2 전학, 과연 좋은 전략일까요?

말씀하신 것처럼 내신 성적을 높이기 위해 전학을 고려하는 것은 충분히 생각해볼 수 있는 전략입니다. 특히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되는 2025년부터는 내신 성적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예정이죠.

장점:

  • 내신 성적 향상 가능성: 현재 학교보다 상대적으로 내신 경쟁이 덜한 학교로 전학한다면, 좋은 내신 성적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는 학생부 종합 전형이나 교과 전형에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새로운 시작: 현재의 내신 성적에 대한 부담감을 덜고, 새로운 환경에서 새로운 마음으로 학업에 집중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단점 및 고려해야 할 점:

  • 전학의 난이도: 다른 지역으로 전학하는 것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소지 이전 등 복잡한 절차와 제약이 따를 수 있습니다. 특히 원하는 학교로의 전학이 불가능할 수도 있어요.

  • 적응 문제: 새로운 환경, 새로운 친구들, 새로운 선생님과 수업 방식에 적응하는 데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받거나 학업에 방해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 내신 산출 방식: 전학 갈 학교의 내신 산출 방식이 현재 학교와 다를 수 있으며, 전학으로 인해 기존의 이수 단위가 일부 인정되지 않거나 성적 산출에 불이익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교육청이나 전학을 고려하는 학교에 미리 문의하여 정확한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 고교학점제에서의 유불리: 고교학점제는 단순히 내신 등급뿐 아니라 자신이 선택한 과목을 얼마나 깊이 있게 학습했는지도 중요하게 봅니다. 쉬운 학교로 전학 가서 내신은 올랐지만, 전학 간 학교의 교육과정이나 선택 과목이 본인의 진로에 맞지 않거나 심화 학습이 어렵다면 오히려 진로 역량 측면에서 불리할 수도 있습니다.

  • 생활기록부 연계성: 1학년 때의 생활기록부와 2, 3학년 때의 생활기록부 간의 연계성이 중요합니다. 전학을 가더라도 1학년 때 활동했던 내용들이 단절되지 않고 이어질 수 있도록 신경 써야 합니다.

이 어려운 학교에서 도전할 경우의 장점

현재 학교에서 계속 도전하는 것도 분명히 의미 있는 선택입니다.

  • 현재 학교의 이점: '웬만한 특목고랑 비슷할 정도의 어려운 일반고'라는 것은 그만큼 학교의 교육 수준이 높고, 심화된 학습이나 다양한 비교과 활동 기회가 많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런 환경은 상위권 대학 진학 시 학업 역량이나 심화 탐구 능력을 어필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 경쟁력 있는 내신: 어려운 학교에서 받은 좋은 내신 성적은 그 자체로 높은 가치를 지닙니다. 대학들도 학교별 학력 수준을 어느 정도 고려하기 때문에, 경쟁이 치열한 학교에서 얻은 2등급이 경쟁이 덜한 학교의 1등급보다 높게 평가될 수도 있습니다.

  • 적응의 이점: 이미 학교 환경과 친구들에게 적응되어 있으므로, 학업 외적인 부분에서 에너지를 낭비할 필요 없이 오롯이 공부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 정시의 가능성: 만약 내신이 끝까지 만족스럽지 않더라도, 어려운 학교에서 심화 학습을 통해 다져진 실력은 정시 전형에서 큰 강점이 될 수 있습니다.

현명한 결정을 위한 조언

  1. 현실적인 목표 설정: 지금 상황에서 과연 내신을 어느 정도까지 올릴 수 있을지 냉정하게 판단해보세요. 만약 전학을 간다면 어느 정도 수준의 학교로 갈 수 있고, 그곳에서 어느 정도의 내신을 기대할 수 있을지 구체적으로 따져보는 것이 좋습니다.

  2. 진로 계획 구체화: 어떤 분야에 관심이 있고, 어떤 대학의 어떤 학과에 진학하고 싶은지 명확히 해보세요. 그 진로에 현재 학교의 교육과정이 더 유리한지, 아니면 전학을 통해 더 적합한 기회를 찾을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합니다.

  3. 교육청 및 전학 희망 학교 문의: 전학 절차, 내신 성적 산출 방식, 그리고 전학 희망 학교의 교육과정 및 분위기 등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선생님, 부모님과의 심층 상담: 학교 담임선생님, 진로 선생님, 그리고 부모님과 충분히 이야기를 나누면서 각자의 의견을 들어보고 조언을 구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될 겁니다. 특히 선생님들은 현재 학교의 교육과정과 대학 입시 트렌드에 대해 가장 잘 아시는 분들이니, 구체적인 조언을 받을 수 있을 거예요.

  5. 정시도 함께 고려: 내신 성적 외에 수능 준비도 꾸준히 병행하며 정시라는 또 다른 선택지를 열어두는 것이 심리적으로나 실제적으로나 도움이 됩니다.

☎함께하면 좋은 글 싸이트

https://blog.naver.com/gangwongyu13

https://gangwongyu57.blogspot.com/

https://gangwon123.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