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기관지 절개술 후 음식섭취? 친정엄마 올해 93세작년 12월 교통사고로 전치 28주..큰사고 크고작은 수술끝에 현

친정엄마 올해 93세작년 12월 교통사고로 전치 28주..큰사고 크고작은 수술끝에 현 요양병원 입원중며칠전 외래로 외과 진료받고 왔는데 담당의 말씀이 음식섭취도 가능하다 해서 이틀전 딸기우유 몇모금 드려봄..(사고후 근5개월만에 첨으로 병원식 액상영양식이 아닌 외부 음식을 드신거였죠..)요양병원에서 한번씩 테스트 하는데 물도 못 넘기더라 해서 개인적으로 궁금했습니다진짜 물도 못 드시는가 싶어서..수술 했던 병원 의사쌤이 드시는거 가능하다 했기에 시도해본거예요 정말 빨대로 몇모금 드린게 다예요근데 오늘 병원 갔다가 간호사 한테 혼났습니다우리 맘대로 줬다구요 위험할수도 있는데 왜 그랬냐고.ㅜㅜ하루가 다르게 앙상하니 말라가는 엄마 힘없이 축 쳐져있는 모습 넘 안쓰러워서 ㅠ뭘 먹어야 기운이라도 차리지 싶은 맘이 컸어요 액상이니 이렇게 조금 주는건 괜찮을꺼라 생각했구요..빨대로 흡입도 잘 하시구 숟가락에 조금 덜어 드렸는데 잘 드셔서 넘 기뻤는데..이젠 암것도 할수 있는게 없다 싶어서 속상하고 힘 빠집니다..ㅜㅜ현 의사나 의료계 종사자분께 물어볼께요!!지금 저희 엄마 상태에서는 진짜 다른 음식물 섭취는 안되는 건가요?시판 음식(액상만)드신다해도엄마몸에는 치명적인지?어디가 안좋아질수 있는지..?자세히 알려주시면 넘넘 감사하겠습니다!!

기관지 절개술 후 음식 섭취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기관절개를 한 환자는 삼킴 기능(연하 기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아 음식 섭취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음식 섭취 가능 여부

- 의사가 가능하다고 한 경우: 담당 의사가 음식 섭취가 가능하다고 판단했다면, 연하 기능이 어느 정도 유지되고 있다는 의미일 수 있습니다.

- 요양병원에서 물도 넘기지 못하는 경우: 이는 삼킴 기능이 저하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면 흡인성 폐렴 등의 위험이 있습니다.

- 빨대로 몇 모금 드셨을 때 문제 없었다면: 삼킴 기능이 어느 정도 유지될 가능성이 있지만, 전문적인 연하 검사(삼킴 검사)를 통해 정확한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험 요소

1. 흡인성 폐렴 위험: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면 폐렴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기도 폐쇄 가능성: 삼킴 기능이 저하된 경우, 음식물이 기도를 막아 호흡 곤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소화 문제: 오랜 기간 액상 영양식을 섭취한 경우, 일반 음식 섭취 시 소화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추천 대응 방법

- 연하 검사(삼킴 검사) 진행: 요양병원에서 삼킴 기능 검사를 요청하여 정확한 상태를 확인하세요.

- 전문가 상담: 재활의학과 또는 연하 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안전한 음식 섭취 방법을 확인하세요.

- 점진적 시도: 액상 음식부터 시작해 점차적으로 부드러운 음식으로 넘어가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건강을 위해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