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고1이라면 가장 먼저 해야 할 것
성적을 아주 높이지 않아도 괜찮지만, 기본 내신 4~5등급은 유지해야 체육 특기자/비실기전형/면접전형 지원 가능성 있음
스포츠 관련 전공을 위해 입시체육 실기 준비도 고려 (예: 체조, 윗몸일으키기, 제자리멀리뛰기, 오래달리기 등)
태권도는 4품이면 충분하고, 4단까지는 반드시 따는 걸 목표로 → 사범·심판·지도자 등 기본 조건
태권도 외에 '스포츠 산업', '경영', '기획'에 흥미가 있다면 경영학·스포츠산업학 쪽으로 시야 넓히기
추천 학과/전공
전공 | 설명 |
스포츠산업학과 / 스포츠경영학과 | 스포츠 관련 기업, 기획사, 프로구단, 마케팅 분야로 진출 가능 |
체육학과 / 체육교육과 | 종합적인 운동학, 해부학, 트레이닝, 심판 이론 등 학습 |
태권도학과 | 사범, 지도자, 심판 등 특화 + 체육 지도자 자격 취득 쉬움 |
레저스포츠학과 / 스포츠과학과 | 트레이닝, 스포츠 심리, 체력 평가, 스포츠 기술 등 응용 분야 |
추천 대학 (비실기 or 실기 약한 학교 위주)
용인대 (국내 태권도 최고 명문, 입시 실기 어려움 有)
경희대 국제캠퍼스 태권도학과 (명문 + 실기 평가 有)
단국대(천안) 태권도 전공
우석대, 세한대, 송곡대, 한중대 등 태권도 특화
한양대 에리카 스포츠과학부
경희대 스포츠의학·경영계열
단국대 스포츠경영학과
상명대 스포츠융합학부
고려대 세종캠퍼스 체육교육
국립체육대학교 (실기 필수지만 체육행정도 강함)
인천대, 충남대, 군산대, 전북대 등의 지방 거점 국립대 체육계열도 안정적
결론: 추천 루트
내신/출결/기본 태도관리 필수 (체육계 전형은 성적 낮아도 정리된 자기소개서, 체육활동, 의지가 중요함)
입시체육 실기 병행 준비 (오래달리기, 윗몸일으키기 등 체력 기초부터)
진로방향을 이중설정:
A플랜: 스포츠산업/에이전트/경영 분야 (전공 깊게)
B플랜: 태권도 사범/심판/관장 → 자격증 중심, 경력 관리
태권도는 4단까지 반드시 취득 + 심판자격도 중장기 목표로 준비
관련 대회/캠프/자격 과정 참여 (경기도/전국단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