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진짜진짜진짜 꿈이 없는데 어떡하죠 지금 중3여자고 하고 싶은게 없어요제가 그림이나 체육 쪽을 잘하긴하는데 사실

지금 중3여자고 하고 싶은게 없어요제가 그림이나 체육 쪽을 잘하긴하는데 사실 그림은그렇게까지 특출난건 아니고 평타 이상?이걸로 제가 성공항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인문계 가면 어중간한 애들은 다 깔아주는거라던데 제가 좀 어중간하거듬오ㅠㅠ 그리고 다른 직업들 보면 흥미가 다 없어요ㅠ 저만 너무 막 사는거 같은데 다들 진로 어떻게 찾으셨어요?ㅠㅠ

그 마음, 정말 잘 이해돼요.

“난 뭘 잘하지?”, “이걸로 먹고 살 수 있을까?”, “남들은 다 뚜렷한 목표가 있는 것 같은데 나만 멍한가?”

이런 고민은 진짜 많은 중3들이 겪는 거예요. 혼자만 그런 거 절대 아니에요.

✋ 우선, "어중간한 나"라는 말부터 잠깐 멈춰볼까?

지금 말한 “그림은 평타 이상, 체육도 잘한다”는 건

평균보다는 확실히 위라는 거예요.

그런데 이걸 “특출나진 않아서 안 될 거 같아” 라고 단정지으면

나를 계속 작게 만들게 돼요.

진짜로 그림 잘 그리는 애들도

“난 평범한데?”라고 생각하면서 망설이는 경우 많고,

처음엔 어중간했지만 계속 그려서

웹툰 작가나 일러스트레이터, 게임 원화가 된 사람도 많아요.

❓ 하고 싶은 게 없다는 건 무기력이 아니라 가능성이에요

“나는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아”라는 건

사실은 아직 내가 좋아할 수 있는 걸 충분히 경험 못 해봤다는 뜻이에요.

학교라는 틀 안에서 경험할 수 있는 건 정말 제한적이에요.

그림, 체육… 그 외에 수십 가지 가능성은

아직 경험조차 못 했을 수 있어요.

그래서 하고 싶은 게 없는 지금은

**"정상"이고 "시작점"**이에요.

성공한 사람들도 중학교 때는 다 몰랐어요.

진로를 어떻게 찾았냐고요?

여기 진짜 사례 몇 가지 보여줄게요:

사람 상태 (중3~고1)

지금 하는 일

"나는 다 애매한데?"

미대 가서 UX디자이너 됨

"공부 싫고 수학 못해"

제과제빵 전공 후 카페 창업

"체육은 좋아하는데 애매함"

체육교육과 → 헬스트레이너

"예체능인데 부모 반대"

영상 편집 배워 유튜버 됨

"진로 없음"

방황하다가 심리학과 진학

지금 할 수 있는 몇 가지 조언

  1. "나는 뭘 잘할까?" 말고, "뭘 해보면 재밌을까?"로 바꿔보기

  • 진로는 “잘하는 거”보다 “계속 할 수 있는 거”가 중요해요.

  1. 그림이나 체육, 둘 중 하나라도 좀 더 깊게 파보기

  • 예: 만화체나 캐릭터 디자인? 스포츠 심리? 물리치료?

  • 의외로 그 속에서 “이건 재밌다” 싶은 게 나올 수 있어요.

  1. 인문계 무서워하지 말기

  • 어중간해도 대부분은 어중간해요

  • → 그래서 고등학교는 "탐색기"고,

  • 대학/직업계가 “진짜 방향 찾는 곳”이에요.

  1. 기록 남기기

  • 오늘처럼 고민한 거, 흥미 생긴 거, 짜증난 거

  • → 나중에 보면, 내가 뭘 원하고 있었는지 실마리가 보여요.

마지막으로, 꼭 기억해줘요

  • 너만 막 사는 게 아니에요.

  • 하고 싶은 게 없다고 해서 실패한 게 아니에요.

  • 어중간한 지금의 나도, 언젠가는 분명 방향을 잡게 돼요.

  • 지금은 그걸 찾아가는 과정 중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