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전문학사 로봇공학과 진로 학교를 졸업하고 대기업, 중소, 중견 돌아다니다 이번에 다니던 회사를 퇴사하게

학교를 졸업하고 대기업, 중소, 중견 돌아다니다 이번에 다니던 회사를 퇴사하게 되었습니다.그나마 경력이라고 할만한 1년 좀 넘게 다니던 회사에서는 반도체 메인트 교대근무를 했었는데신체적으로 많이 힘들어서 이제는 주간 근무를 하고싶어 퇴사를 하게됐습니다어느덧 27살이 돼버렸고 남은건 3점 후반대 학점의 전문학사, 위산기, 산안산기 뿐이네요앞으로 뭐를 해야할지 고민입니다.현장에서 몸쓰는 일은 그만하고 싶은데 다녔던 전문대 1년 더 다녀서 학사과정을 밟고 기계설계 자격증을 따볼까 하는데 안늦었을까요?아니면 그냥 중소기업 주간 다니면서 3천 초반 받으면서 다녀야할지 고민입니다..

이런 고민, 정말 현실적인 이야기죠.

몸 쓰는 일은 이제 지쳤고, 주간 근무로 안정적인 생활을 하고 싶은데

경력과 조건이 마음처럼 따라주지 않으니까요.

그래도 지금 27살이면, 아직 **‘길을 고를 수 있는 나이’**입니다.

지금부터 하나씩 정리해볼게요.

1. 학사 연계 + 설계 자격증 → 좋은 방향입니다

전문학사에 위산기(위험물산업기사), 산안산기(산업안전기사) 가지고 계신 거

절대 무시할 스펙 아니고요,

이 위에 기계설계산업기사캐드/솔리드웍스 실무를 붙이면

중소 설계 직무, 공정기술, 품질파트 등 주간 근무로 진입할 수 있어요.

그리고 학사 연계하면 산업기능요원, 공기업 응시, 공공기관 쪽도 일부 열리죠.

실제로 기계계열 출신 분들 중 이 루트로

설계직이나 사무기술직으로 옮긴 분들 많습니다.

→ 정리하면

학사 취득 + 설계 자격증 → 직무 전환 + 근무환경 개선

→ 가능한 흐름이에요.

2. 그냥 중소기업 3천 초반? 가능하지만, 오래 못 버틸 수 있어요

지금 말씀하신 "주간 중소기업 3천 초반"도

안정적으로 보일 수는 있지만,

막상 해보면 몸도 고되고, 승진이나 직무 이동도 어려운 경우 많아요.

무엇보다 **지금 퇴사하신 이유가 '몸 쓰는 일의 한계'**라면

비슷한 루틴의 일은 또 같은 이유로 그만두게 될 가능성이 높아요.

→ 그냥 일단 다니면서 돈 모은다는 전략은

짧게는 가능하지만, 길게 보면 한계가 분명해요.

3. 지금이 ‘딱 맞는 타이밍’이에요

27살, 이제 막 퇴사한 시점이면

방향만 잡으면 1~2년 투자로 인생의 흐름을 바꿀 수 있는 시기입니다.

예를 들어

  • 올해 학사 과정 들어가서

  • 내년까지 학사 + 자격증 마무리

  • 29~30부터 설계직이나 관련 기술직군 이직

이 루트, 현실적으로 충분히 가능하고요,

30살에 경력 전환해도 늦지 않았다는 걸

이 분야에서 이미 증명한 사람들 많습니다.

결론

중소기업 주간으로 당장 가는 것보다,

지금 1~2년을 투자해서 직무를 바꾸는 게 더 낫습니다.

  • 학사 연계 과정 꼭 진행하세요

  • 기계설계산업기사, CAD 실무 공부 병행하세요

  • 전직 가능한 설계/기술직군부터 천천히 알아보시고

  • 이후 경력 쌓이면 중견·대기업 이직도 가능합니다

이게 현실적으로 **‘몸 안 쓰면서 오래 갈 수 있는 루트’**에 가장 가까워요.

제 답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다면

포인트 선물 버튼을 눌러서 마음 전해주시면 감사하고 힘이 날 것 같습니다

제가 운영하는 네이버 블로그에요

유용한 경제 정보들을 직접 설명하는 동영상도 함께 올리고 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한 번 들러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https://blog.naver.com/6zvqglo/223933757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