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범죄심리학과 고1 진로 관련 고민입니다.요즘 범죄심리학에 관심이 생겨서요. 무엇에 관심이 생긴건

고1 진로 관련 고민입니다.요즘 범죄심리학에 관심이 생겨서요. 무엇에 관심이 생긴건 처음이라 궁금한게 많아 자세히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1.범죄심리학과가 있는 대학교는 어디가 있나요?5등급제 예상 컷도 부탁드립니다!2. 대학원 이야기도 보이던데 꼭 대학원을 가야하는건가요?3. 범죄심리학과에 진학하면 직업은 주로 어떤 직업을 가지게 되는건가요?4. 취업 쪽으로는 안정권인가요?

김선호 변호사 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범죄심리학과와 관련하여 진로 혹은 법적 활용 방안에 대해 궁금함을 가지신 것으로 이해합니다. 법률 분야에서 범죄심리학적 전문성을 적용하거나, 진로로 삼을 때 실질적으로 어떤 절차와 자격, 활용방법이 있을지 구체적으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1. 범죄심리학과 전공, 법률 분야 진출 방법

① 국내에서 범죄심리학을 전공한 경우 변호사, 법원·검찰 공무원, 경찰 등 관련 분야로의 진출이 가능합니다. 다만, 변호사 자격을 갖추기 위해선 변호사시험 합격(로스쿨 졸업)이 전제되어야 합니다. ② 검찰청, 경찰청 등에서는 범죄심리 분석관, 프로파일러 등 경력직이나 공개채용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③ 범죄 피해자 지원센터, 교정기관, 청소년 비행예방 기관 등에서도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으며, 채용 공고와 학력 요건을 반드시 확인해야 하겠습니다.

✔️ 2. 범죄심리학 자격증·경력 인정 및 관련 서류

① 대학에서의 졸업(학위증), 성적증명서, 범죄심리 관련 논문·연구실적 등이 직접적으로 자격이나 경력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② 공인 민간자격증(예: 범죄심리분석사 등) 또는 경찰·검찰 등에서의 실무경력 보유 여부를 채용서류로 적극 제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③ 범죄심리분석과 관련한 자격이나 경력 인정은 지원기관의 자격기준을 반드시 확인하고, 구비서류 양식에도 유의하여야 합니다.

✔️ 3. 범죄심리학 전공자가 법정 증언·감정에 참여하는 방법

① 범죄심리학적 전문성이 입증되는 경우, 법원의 감정인, 참고인, 전문가 증인 등으로 선정되어 재판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②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심리학회 등 공식단체의 자격 인증, 실무교육 이수 증빙이 필요할 수 있으니 별도 준비가 요구됩니다. ③ 법정 증언을 위한 전문 감정인의 경우 법원의 지정과 사전확인이 필수라는 점 명심해야 하겠습니다.

✔️ 4. 범죄심리학 분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현실적 조언

실무경력·현장실습: 검찰·경찰 인턴십, 보호관찰소 등에서의 실습경험 ② 학회활동·논문: 대학원 진학, 국제 범죄심리 콘퍼런스 참석 및 학회지 논문 발표 ③ 해외 연수·교류: 외국의 범죄심리 관련 강의 수강 또는 자격 취득 위와 같은 방안을 통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겠습니다.

활동영역

자격·조건

주요서류

변호사

법전공 학위+시험 합격

졸업증명, 성적표, 변호사시험합격증

경찰청(프로파일러)

범죄심리 등 석사/경력

학위증, 경력증명, 자격증

검찰청(전문수사관)

심리학/관련 전공+공채

학위증, 성적표, 지원양식

법원전문가증인

참고인 경험, 자격증

자격증, 실무경력서

범죄피해자센터

학사이상+봉사경력

졸업증명, 경력·봉사확인서

교정기관

관련전공 졸업

성적표, 기타 구비서류

✔️ 5. 핵심 요약 정리

① 범죄심리학은 법조계, 수사기관, 교정기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진출 가능 ② 로스쿨 졸업·변호사 자격, 또는 관련 공무원 채용을 통한 입직이 현실적 ③ 학위, 자격증, 논문 실적 등 전문성 입증 자료 준비가 필수적임

✔️마무리하며...

진로 고민 속에서도 자신의 전문성이 사회 정의 구현에 쓰인다는 점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힘겨운 과정이지만, 과정마다 자부심과 보람을 얻으실 수 있기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법무법인 강현 대표 김선호 변호사

전화상담 1644-8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