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한국외대 아프리카학부 취업이나 전망 괜찮을까요..??

취업이나 전망 괜찮을까요..??
  • 국내 대학 중 아프리카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학부는 한국외대가 유일합니다. 이로 인해 희소성이 있으며, 특정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 아프리카는 신흥 시장으로 성장 잠재력이 크지만, 동시에 정치적·경제적 불안정 요소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국제기구, 글로벌 기업, 정부 기관 등에서 아프리카 지역 전문가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취업 분야 및 전망

  • 국제기구 및 NGO: KOICA, UN, World Bank 등 국제개발협력 기관에서 아프리카 지역 프로젝트 관리 또는 현지 지원 업무. 인권·환경·빈곤 퇴치 관련 NGO에서 아프리카 지역 활동가 또는 연구원으로 활동.

  • 글로벌 기업: 삼성전자, LG전자 등 대기업의 아프리카 현지 법인에서 시장 조사, 현지화 전략 수립 등에 참여.

  • 에너지·자원 분야 기업에서 아프리카 광물 자원 개발 관련 업무.

  • 정부 및 공공기관: 외교부 아프리카 담당 부서, 한국수출입은행 해외 프로젝트 팀 등에서 근무. 아프리카 국가와의 경제 협력 업무(예: 한-아프리카 경제협력단).

  • 학계 및 연구소: 대학원에서 아프리카 지역 연구로 석사·박사 학위를 취득해 학계 또는 연구소에서 활동.

전망과 고려 사항

  • 1) 긍정적 측면:

  • 아프리카 시장의 성장 가능성으로 인해 장기적 수요 증가 예상.

  • 국내 유일의 전문 학과로서 경쟁력 확보 가능.

  • 외대의 이중전공 제도를 활용해 경영학, 국제관계학 등을 결합하면 취업 범위를 확대할 수 있습니다.

  • 2) 주의할 점:

  • 아프리카 지역 전문가 수요는 특정 분야에 한정될 수 있으므로, 본인의 관심 분야(정치, 경제, 문화 등)를 명확히 설정해야 합니다.

  • 현지 언어(스와힐리어, 아랍어 등)와 문화적 이해가 필수적이므로, 관련 역량을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선배들의 조언

  • 검색 결과에서 아프리카학부 선배들은 아웃풋이 괜찮다라고 언급하며, 적성과 관심사가 맞는다면 전망이 좋다고 평가했습니다.

  • 다만, 언어나 지역 연구에 대한 적성이 맞지 않으면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본인의 성향과 목표를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